11.20 정혜신 강연 "당신이 옳다"
"마음이 어떠세요?"
심리적 심폐소생술이자 소통의 시작되는 질문. 생각은 존재의 핵심이 아니다. 마음이 드러나야 그 사람이다. 마음, 느낌은 존재의 핵심이자 본질이다. 현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바로미터 이기도 하다. 존재의 핵심이 드러나면 공감의 과녘이 생긴다. 그 과녘에 맞게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묻지 않고 알 수 없다"
공감을 위해서는 잘 물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잘 물어보는 사람이 공감력이 크다. 모르면 묻고, 알게된 만큼씩 이해하면 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그 사람에게 주목하게 된다. 그렇게 존재의 핵심에 다가가는 것. 그리고 결국 "당신이 옳았다"고 말해주는 것.
"네 마음이 그랬구나"
사람을 살리는 말은 공감의 말이다. 그 사람의 마음에 동의해주고, 들어주는 것이다. 일반론적인 충고나 조언은 때론 비수가 되어 타인의 마음에 꽂힌다. 사람이 진짜 무너지는 이유는 타인이 하는 "옳은 말, 바른 말" 때문이다. 공감은 "선한 파급력"을 지닌다.
공감강박은 NO
우리는 모든 이를 다 공감할 수 없다. 다 공감하려고 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해라. (정혜신) 나는 제일 악한 이도 상담하고 공감하려 한다면 할 수 있지만 하지 않는다. 나는 성녀가 아니다. 하기 싫은 건 하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공감은 존재의 안정감
엄마아빠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자기 존재를 부인하고, 자기욕망을 참는 아이들이 많다. 좋지 않다. 아이들에게는 "네가 옳다"를 해줘야 한다. 허벅지에 십자수 놓는 심정으로! 공감을 많이 받고 자란 아이들은 마음곳간이 그득하고, 그렇기에 자신이 선택한 일에 주체적으로 반응한다. (정혜신) 내가 한 것은 물어보고 안심하고 믿었다. "그래, 그게 너의 최선이었구나." 하고 공감했는데, 그것은 함께 겪어온 "공감의 역사"가 있었기에, 믿음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
들으면서 왠지 마음이 울컥한 강연. 정혜신 샘 목소리 덕분인가, 마음에 촛불 켠 듯 듣게 되었다.
공감받고 싶어하는 나, 그만큼 공감해주며 사람에게 다가서고 싶은 나.
이유없이 공감해주고 사랑해준 많은 분들이 떠올라, 내가 내 마음곳간이 비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 가득했던 게 아닌가 생각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