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68

잊혀진 나라 '아프간' <3> '무기' 빼곤 모든 것이 중세적 근대주의에의 면역 1919년부터 1928년까지 아프간을 통치했던 아마눌라 칸은 이란의 레자 샤, 터키의 케말 아타투르크와 동시대인이었다. 개인적으로 그는 근대주의에 젖어 있었다. 1924년 그는 유럽을 순방하고 돌아오는 길에 롤스로이스를 사 갖고 들어와 그의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개혁 프로그램에는 의상의 변화도 포함됐다. 그는 왕비에게 베일을 벗을 것을 권했고 남성 국민들에게도 전통의상 대신 서양 옷을 입으라고 촉구했다. 또 아프간의 전통에 반해 일부다처제를 금지시켰다. 전통주의자들은 즉각 아마눌라의 근대화 개혁에 반대했다. 농경부족중 어느 누구도 그의 개혁에 동조하지 않았고 그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다. 한마디로 그의 개혁은 사회경제적 기반이 없는 근대화였다. 부족간 결혼도 금할 정도의, 일체의 공.. 2007. 7. 24.
잊혀진 나라 '아프간' <2> '국가'보다 '부족'이 우선하는 나라 부족간 갈등-과거와 현재 아프간은 이란에서 독립해 생긴 나라다. 약 2백50년전까지 아프간은 이란의 한 지역이었으며 나디르 샤 시절에는 대(大) 호라산지역의 일부였다. 인도 원정에서 돌아오던 어느날 밤 나디르 샤는 구찬지역에서 암살 당했고 나디르 샤 군의 아프간 사령관이었던 아마드 압달리는 4천명의 병사를 이끌고 탈주했다. 그는 이란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고 이로부터 아프간이 탄생한 것이다. 지난 12일 아프간 반군 북부동맹이 수도 카불 공략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한 어린이가 폭탄을 가지고 놀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각 부족은 자신들의 지도자에 의해 통치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각 부족의 지도자들은 집단적으로 일종의 부족 연방제를 형성했다. 로야 지르가(Loya Jirga)가 그것이다. 로야 .. 2007. 7. 24.
권정생선생의 유서 정호경 신부님. 마지막 글입니다. 제가 숨이 지거든 각각 적어놓은 대로 부탁드립니다.....3월 12일부터 갑자기 공팥에서 피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뭉툭한 송곳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계속되었습니다. 지난날에도 가끔 피고름이 쏟아지고 늘 고통스러웠지만 이번에는 아주 다릅니다. 1초도 참기 힘들어 끝이 났으면 싶은데 그것도 마음대로 안됩니다. 하느님께 기도해 주세요. 제발 이 세상, 너무도 아름다운 세상에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없게 해 달라고요. 제 예금통장 다 정리되면 나머지는 북측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보내 주세요. 제발 그만 싸우고, 그만 미워하고 따뜻하게 통일이 되어 함께 살도록 해 주십시오. 중동, 아프리카, 그리고 티벳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하지요. 기도 많이 해 주세요. 안녕히 계십시오... 2007. 7. 23.
최강 울엄마 1. 새로 산 노트북을 엄마와 구경하던 중에 옛날 사진들을 함께 보게 되었다. 불과 1년 전, 내 사진을 함께 보던 엄마 왈, "야, 너 그나마 사람됐다." 완벽한 인간이 되기 위하여 앞으로 더욱 더 노력해야 하리라. 2. 오랫만에 엄마와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결국 너는 왜 남자친구도 없냐는 삼천포로 빠져 잔소리를 듣다가 잠들었다. 자다가 잠깐 깼는데, 울 엄마 내 팔을 잡고 안타까운 목소리로 왈, "으이구, 팔뚝에 살만 없어도. 이게 유전이라..." 유전무죄임을 입증하기 위해, 팔떨기 운동을 열심히 해야하리라. 2007. 7. 23.
원하는 것 무엇인가 하기를 원한다면 그냥 해라. 여러 이유 달지말고. 2007. 7. 23.
잊혀진 나라 '아프간' <1> "아프간이 뭡니까?" 어느 전쟁이든지 최대의 희생자는 인간이다. 무고한 인명이 살상된다는 의미에서뿐만이 아니라 진정한, 보편적 인간성 자체도 말살되기 때문이다.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전쟁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매일매일의 전황에만 관심을 쏟을 뿐, 22년간의 내전과 3년간의 가뭄으로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아프간인의 삶에는 관심조차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의미에서 아프간은 ‘잊혀진 나라’다. 이란이 낳은 세계적 감독 모흐센 마흐말바프의 이 글 ‘누구에게도 소속되지 않은: 아프간 비극에 대한 무관심’(Limbs of No Body: Indifference to the Afghan Tragedy)은 우리들에게 아프간의 처참한 인간적 비극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촉구하고 있다. 저자가 지난 십수년간 아프간을 탐구한 결과 .. 2007. 7. 22.
가족의 탄생 이미 만들어진 가족의 이야기가 아니다. 결혼이나 혈연으로 만들어진 가족이 아닌 가족이 되고자하는 의지로 만들어진 '가족'이 인상깊었다. 의무나 책임으로 가족이라는 '굴레'를 지고 가는 사람들이 참 많은데, 엉뚱한 인연으로 가족을 탄생시킨 주인공들의 모습에서 연신 웃음이 터져나왔다. 슬프기도 하지만 꿋꿋한 모습이 바로 지금 가족다운 가족의 모습이 아닐까? 오랫만에 본 영화였는데, 재밌어서 다행이었다. 무심씨의 연기는 단연 압권이었고, 채연이는 너무 귀엽고 사랑스러웠다. 엄포스의 뻔뻔함과 문소리의 높은 콧소리, 언제나 아름답고 매력넘치는 공효진도 모두모두 얼마나 적절하게 연기하시던지. 하긴 둘러보면 내 가족과 가족의 주변에도 이런 사람들이 많이 있다. 다만 그들을 남이라고 규정해버리고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 2007. 7. 17.
후유증 아주 잠시였다고 해도 어디론가 흐르던 마음을 다시 돌리면 잠깐의 후유증은 있다. 인정하고, 다시 흐름을 돌리자. 2007. 7. 15.
손문상씨 블로그 녹색평론에 표지로, 삽화로 이름이 많이 등장했던 손문상씨. 이번 녹색평론에 블로그 주소가 올라 찾아가보았다. 한 번 들러보시길. 사람에 대한 애잔한 마음이 느껴지는 그림과 사진이 가득. http://blog.naver.com/smoons99 2007. 7. 14.